삼년산성 주변 고분 횡구식 석실 확인
삼년산성 주변 고분 횡구식 석실 확인
  • 송진선 기자
  • 승인 2023.12.07 10:36
  • 호수 7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실내부 평면 ‘ㅁ’자형 시상 조성…고배·뚜껑편 등 출토
충북문화재연구원, “삼년산성과 같은 시기 조성된 신라 무덤이다”

보은읍 대야리 고분군 중 3호분(산 23번지)이 봉토의 범위와 형태, 매장주체시설의 구조가 온전하게 남아있는 것이확인됐다.
보은군이 충북도문화재연구원에 맡겨 3호고분 발굴을 진행중인 가운데, 3호분 봉토의 형태는 원형이고, 지름은 10m, 잔존 최대높이는 3m 정도였다. 구간별로 성토재를 달리 사용하고 봉토의 가장자리 가운데 북쪽과 동쪽에는 호석을 두른 것을 확인했다.
매장 주체시설의 구조는 횡구식석실 형태로 무덤 바깥에서 안으로 주검과 부장품을 이동하기 위한 공간인 묘도(墓道)와 입구가 있고, 주검을 안치하고 시상 주변에 부장품을 넣는 공간인 현실 등으로 이뤄져 있는 것이 확인됐다.
현실은 바닥에서 천장으로 올라가는 구조로 바닥보다 천장의 면적이 좁고 천장은 평천장으로 대형 괴석 9매를 이용했는데 이중 대형괴석 1매는 도굴되면서 유실된 것으로 추정했다.
아울러 벽석은 다양한 크기의 할석을 쌓아 조성했으며, 바닥 부근의 할석이 비교적 크고 벽석 사이의 틈새는 작은 돌을 끼워 넣었으며, 바닥 부근에는 점토를 바른 흔적도 일부 확인된다.
현실 내부에는 평면 ‘ㅁ’자 형태의 시상이 조성됐다. 목관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관정, 꺾쇠와 6세기 중반 이후로 보이는 고배편과 뚜껑편이 출토됐다.
발굴팀 관계자는 “석실 구조나 유물 등에 미뤄 볼 때 인접한 삼년산성 축성시기와 비슷한 5세기 후반∼6세기 초반 만들어진 신라의 무덤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군은 앞서 2013년 충북도문화재연구원에 의뢰해 보은 대야리 고분군 가운데 1기를 발굴 조사했다.
이때 부곽과 주변에서 금동제 귀고리 1점과 철기·토기류 등 모두 45점의 유물이 출토됐다. 가장 많이 발견한 토기류는 목긴항아리(장경호)와 받침달린 목 긴 항아리(대부 장경호), 목 짧은 항아리(단경호), 2단 굽다리 접시(고배)로 부장공간에 매장돼 있었다.
이 가운데 경주가 아닌 보은에서 금동제 귀고리가 발견된 점을 두고 고분의 주인공이 신라시대 수장급 권력자로 당시 삼년산성 경영에 권력층이 관여한 것으로 추정했다.
홍영의 군 문화재 팀장은 “발굴조사는 삼년산성이 활발하게 운영되던 시기에 축조된 신라 지방 고분의 축조 특징을 확인했으며, 추후 복원·정비·활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획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중부권 최대 신라고군분의 역사적 가치를 입증해 삼년산성과 더불어 사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첫 단추”라고 말했다.
한편 보은군은 수차례 학술조사를 거쳐 삼년산성이 위치한 오정산(해발 325m)을 중심으로 주변인 대야·어암·평각·풍취리 일원에 1천644기의 고분군이 흩어져 있는 것을 확인했다. 봉토(封土)가 분명한 무덤 309기와 지름 15∼20m의 대형 봉토분 168기도 포함돼 있다. 이는 중부지역 신라시대 최대의 고분군으로 충북도기념물 156호인 ‘대야리 고분군(古墳群)’이다.
삼년산성(사적 235호)은 삼국사기에 ‘신라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 13년인 서기 470년 축성했다’고 축성시기가 기록된 유일한 고대 산성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