③국보5호 쌍사자석등
③국보5호 쌍사자석등
  • 송진선 기자
  • 승인 2018.08.09 09:14
  • 호수 4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자 염불하는 법승과 참선하는 선승 의미
 

법주사 경내 배치를 보면 금강문부터 대웅보전까지 일직선으로 배열돼 있다.

금강문→사천왕문→팔상전→국보5호인 대웅보전까지 구조다. 법주사의 예 배치도를 보면 대웅보존 앞에는 팔상전과의 사이에 극락전에 있었으나 지금 극락전은 없다.

쌍사자석등은 법주사 대웅전과 팔상전 사이에 있고 역시 대웅보전과 일직선으로 놓여있다.

불교에서 등불은 지혜의 광명으로 중생의 무명을 밝혀 준다는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쌍사자석등은 바로 부처님의 지혜를 얻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신라 석등중 뛰어난 작품중의 하나로 조성된 쌍사자석등은 사자를 조각한 유물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으며 매우 특수한 형태를 하고 있다.

석등을 세운 시기는 신라 성덕왕 19년(720)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석등의 높이는 3.3m로 두 마리 사자가 뒷발로 버티고 앞발과 입으로 상대석인 화사석을 받들고 있다. 두 마리 사자 입모양을 봤는지 모르지만 서로 다르다는 것을확인할 수 있다. 대웅보전쪽을 바라볼 때 왼쪽 사자는 입을 벌렸고 오른쪽은 입을 다물었다. 무슨 뜻이 담겨있을까? 입벌린 사자는 염불하는 모습의 수도하는 법승이고, 입을 다문 사자는 참선하는 모습의 선승을 의미한다.

사자 다리가 딛고 있는 아랫돌과 윗돌에는 각각 연꽃을 새겨 두었는데, 윗돌에 두 줄로 돌려진 연꽃무늬는 옛스러운 멋을 풍긴다.  쌍사자 석등의 사자는 현재 남아있는 사자조각들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머리의 갈기, 다리와 몸의 근육까지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은 8각으로 높으며, 네 곳에 창을 내어 불빛이 새어나오도록 했다. 지붕돌은 처마밑이 수평을 이루다가 여덟 귀퉁이에서 위로 살짝 들려 있는데, 꾸밈을 두지 않아서인지 소박하고 안정되어 보인다.

조금 큰 듯한 지붕돌이 넓적한 바닥돌과 알맞은 비례를 이루어 장중한 품격이 넘친다.

신라의 석등이 8각 기둥을 주로 사용하던 것에 비해 두 마리의 사자가 이를 대신하고 있어 당시로서는 상당히 획기적인 시도였을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통일신라는 물론 후대에 가서도 이를 모방하는 작품이 나타났다.

한편 보은군과 문화재청은 2003년 쌍사자석등 보존상태에 대한 정밀조사 결과 화사석 균열과 사자조각의 표면이 떨어져 2007년 석등 접합면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티타늄 접합봉을 끼워넣고 접착하는 작업을 실시한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