⑤ 조합장 선거, 기관장 아닌 농민대표 선출해
⑤ 조합장 선거, 기관장 아닌 농민대표 선출해
  • 송진선 기자
  • 승인 2015.03.05 10:50
  • 호수 28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는 3월 11일이면 조합장 선거가 있다. 선거가 다가오면서 전국적으로 협동조합의 정신과 가치, 원칙을 지킬 수 있는 인물을 조합장으로 뽑아 좋은 협동조합을 만들고 농협이 농업, 농촌의 구심점 역할을 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같은 전국적인 운동이 우리지역에는 얼마나 와 닿는 쟁점인가. 거리가 너무 먼 얘기다. 여전히 조합원들은 학연, 혈연, 지연에 얽매인 채 조합장 후보를 고르고 있다.

 그 사람을 선택했을 때 조합에 비전이 있는지, 그 사람을 선택했을 때 협동조합의 정신이 잘 구현되는 조합으로 운영해나갈 것인지에 대해서는 판단하지도 않는다.

 전국적으로 좋은 조합장을 선택하고 좋은농협 만들기가 이슈인 지금 우리지역만 낙후된 조합장 선정기준을 갖고 조합장을 선택했을 때 우리 지역 조합의 앞날은 암울하다.

 따라서 이번호에서는 이번 3월 11일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조합장 선거에서 지역유지 즉 기관장이 아닌 농민의 대표, 조합원의 대리자로 충분히 역할을 할 수 있는 조합장을 선택해야 한다는 당위성에 대해 짚어보고자 한다.

◆조합장, 농촌에서 이보다 더 좋은 직업도…
 전국적으로 실시하는 조합장 선거를 앞두고 후보자들이 왜 조합장에 목을 매는지에 대해 언론사 마다 도배가 된 적이 있다. 언론마다 분석하기를 막강한 조합장의 권한, 그리고 연봉 등에 초점을 맞췄다.

 우리지역만 해도 조합마다 규모는 다르지만 조합장은 수 백억원의 사업비를 집행하고 수억원의 교육지원업비를 집행한다. 이중 교육지원사업비는 지역과 조합원을 위해 사용하는 공공복지 예산이지만, 일종의 조합장 재량사업비이다. 거의 조합장의 입맛대로 쓸 수 있는 사업비이다.

 여기에 농산물 판매, 대출, 이자, 인사 등에 대한 전권을 쥐락펴락할 수도 있는 게 조합장이다. 금융이나 유통, 교육 등 모든 것들에 대한 권한을 조합장 한 사람이 독점한다고 보면 된다.

 전문 경영인이라고 하는 상임이사제가 있지만 현 체제에서는 상임이사가 독립적 지위로 전문경영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시스템이 못된다. 이유는 상임이사가 농협 제도권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일단 조합장이 추천해야 한다. 조합장 추천으로 이사회까지 올라갈 수 있고 이사회를 통과해야 대의원총회에 상임이사 선출안이 상정되기 때문이다.

 즉 상임이사가 전문가로서의 최고 실력을 갖췄더라도 조합장이 추천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일단 조합장의 성은(?)을 입은 것이나 마찬가지여서 조합장이 하고자 하는 사업에 제동을 걸기가 어렵다. 상임이사가 전문경영자로서 역할을 하는데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바꿔보면 상임이사까지 무기력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이 조합장이란 얘기다.

 조합장의 연봉이 정기연봉과 성과에 따른 연봉까지 포함하면 보통 6, 7천만원이 넘는다. 농사를 지으며 쉽게 만지기 힘든 돈이 당선과 함께 보장되는 것이다.

 연 소득 1억원이 넘는 농가가 늘고 있고 6, 7천만원이 넘는 농민도 많기 때문에 조합장의 연봉 6, 7천만원이 고액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농민이 얻는 6, 7천만원과 조합장이 가져가는 연봉 6, 7천만원은 비교할 수 없다. 농민들이 한해 동안 땀 흘리는 노동강도보다 조합장이 보여주는 노동강도는 훨씬 떨어진다.

 그런가 하면 조합장이 되면 군수, 지방의회 의장, 교육장, 경찰서장 등과 같은 기관장으로 대접을 받는다.당선만 되면 지역에선 유지가 되는 셈이다.

 여기에 보통의 농민들은 꿈도 못꾸는 조합장 전용 고급승용차도 주어지는데 업무용이 아닌 자가용으로 둔갑한다. 유지비 등은 모두 조합 몫인데 용도는 자가용으로 이용하니 이보다 더 큰 호사를 누릴 수는 없다.

 이같이 권한과 보수까지 호사를 누리는데 비해 내부 견제는 취약하다.  어떤 면에서는 지방의회의 견제를 받는 연봉 7천900만원의 자치단체장보다 조합장 하기가 훨씬 더 낫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 형편이다.

 모든 농산물 가격이 폭락하고 한중 FTA 등 각국과의 FTA체결로 어떤 작목의 농사를 지어야할지 막막해 하는 농민들의 대표, 조합원들의 대리자여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는 조합장의 모습이 요구된다.

◆조합장 권한 분산시켜야
 조합장 선거가 돈 선거로 불법, 탈법이 횡행하는 것은 결국은 조합장의 파워 때문이다. 지역단위 조합별로 영업이익에 따른 연봉의 차이는 있지만 연봉만 수 천만원에 이르고 여기에 각종 업무추진비와 경조사비 등도 재량껏 사용하는 등 지역경제를 좌지우지할 정도다.

 여기에 예금 대출 등 신용사업에서부터 농산물 판매와 하나로마트 운영 등 경제사업도 관장한다. 사업 결정시 이사회와 대의원 총회를 거치는 절차가 있지만, 그동안 각 농협의 신규사업에 대한 이사회나 대의원총회에서 논의되는 것을 보면 최고 의결기구라고 하는 대의원 총회 조차 절차상 거치는 요식행위일 뿐 조합장의 입맛대로 사업이 추진된다.

 다시 조합장의 연봉 얘기이지만 조합원들은 농사를 지어 6, 7천만원의 수익을 올리는 게 가능하냐며 조합장은 조합원의 경제, 사회, 문화적 지위향상에 신경을 써야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에 선출되는 조합장들은 농촌의 권력이 돼 특권을 만들어냈을 정도로 조합장에 집중된 권한부터 조합원들에게 돌려줘야 한다.

◆지역유지 아닌 조합원 대리자 선출해야
 조합원들은 조합의 규모가 확대되고 역할도 다양하고 조합장의 업무능력의 중요성이 커진 것을 감안, 충분한 검증을 통해 조합을 이끌어갈 후보를 선택해야 한다.

 하지만 그런 조합장을 선출해야 하는데 참 어렵다. 왜냐하면 그동안 조합원들은 적임자를 선택하기 보다는 혈연, 학연, 지연, 친분에 따라 선택해왔기 때문이다.

 즉 조합장은 조합을 잘 이끌어가고 조합원들의 목소리를 잘 반영할 조합원의 대리자를 뽑아야 하는데 조합원들은 대다수가 지역유지, 기관장을 뽑는다.

 기관장을 뽑아놓으니 그렇잖아도 어깨에 힘이 들어간 지역유지에게 계급장 하나 더 얹어주는 꼴이 되는 것이다. 즉 농민들 스스로 지역농협을 위해 진짜 헌신적으로 활동할 사람을 조합장으로 선출해야 하는데 지역유지가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참 서글픈 현실이다.

 따라서 이번 선거에서는 기관장, 지역유지가 아닌 조합 살림을 책임질 수장을 선출해야 한다.
 전국적으로 화두인 좋은 조합장을 선출해 좋은 농협을 만드는 것. 우리지역도 예외일 수 없다. 좋은 조합을 만드는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인 것은 좋은 조합장을 선출하는 것이다.

 후보자의 공약을 꼼꼼히 따져 비교해 보고 선택하는 것이 조합원들의 몫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